최근 위즈덤하우스 출판사, 김현준 작가의 "부자들은 이런 주식을 삽니다." 라는 책을 도서관에서 빌려 읽고 요약하기 귀찮아 chatgpt에게 요약을 해달라고 했더니 아주 잘해주었다.
그래서 나중에 책이 없더라도 내용을 기억하기 위해 그 내용을 기록해본다.
사실 책을 읽기는 했으나 주린이인 나에게는 아직 어려운 부분이 있었지만 작가가 그래도 최대한 쉽게 풀어서 쓰려고 노력한 부분들이 있어서 초심자에게는 도움이 많이 되는 책이라고 생각한다.
나는 부자도 아니고 투자금이 조막손에 담긴 작은 금액이지만 언젠가는 부자가 될거니까 ㅎㅎ
===============================================================
1. 메가트렌드와 경제적 해자(Moat)에 주목하라
- 주식 투자는 단기적인 변동성이 아니라 장기적인 성장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 부자들은 메가트렌드(시대적 흐름) 에 속하는 산업과 기업에 투자합니다. 예를 들면, AI, 전기차, 헬스케어, 친환경 에너지 등이 있습니다.
- 또한, 투자할 기업이 경제적 해자(경쟁사들이 쉽게 넘볼 수 없는 강력한 진입장벽)를 갖추고 있는지를 살펴야 합니다.
- 대표적인 경제적 해자의 예시
- 브랜드 가치: 나이키, 코카콜라, 애플처럼 브랜드 충성도가 높은 기업
- 네트워크 효과: 많은 사용자가 있을수록 가치가 증가하는 플랫폼 기업 (예: 네이버, 구글, 페이스북)
- 규모의 경제: 생산량이 많아질수록 단가가 낮아지는 기업 (예: 삼성전자, 테슬라)
- 특허 및 기술 장벽: 반도체, 제약, 바이오 기업 등
- 투자자는 단순히 "좋아 보이는" 기업이 아니라, 실제 재무적 지표가 뒷받침되는 기업을 선별해야 합니다.
2. 일상에서 투자 아이디어를 찾아라
- 성공적인 투자자는 주변에서 투자 기회를 발견합니다.
- 예를 들어, 사람들이 특정 브랜드 제품을 선호하거나, 특정 서비스가 급성장하고 있다면 그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과 재무제표를 분석해야 합니다.
- 실제 사례
- 아이폰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 애플의 성장 가능성
- 쿠팡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 전자상거래 시장 성장
- 전기차 충전소가 점점 많아진다 → 전기차 배터리 및 관련 부품 회사 성장 가능성
- 하지만, 겉으로 보기에 좋은 기업이라도 재무제표가 튼튼하지 않으면 투자하지 않아야 합니다.
3. 재무제표 분석: 부자들은 숫자로 기업을 본다
부자들은 기업을 감이 아니라 재무제표(손익계산서, 대차대조표, 현금흐름표) 분석을 통해 평가합니다.
🔹 (1) 손익계산서 (Income Statement) – 기업의 수익성 분석
- 매출액 증가 여부: 매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기업이 좋은 투자 대상
- 영업이익률(Operating Margin) 비교: 같은 산업 내 경쟁사와 비교하여 얼마나 효율적으로 수익을 내는지 확인
- 순이익(Net Profit) 증가 여부: 순이익이 꾸준히 증가하는지 살펴야 함
- 예시)
- A 기업: 매출 1조 원, 영업이익 1,000억 원 (영업이익률 10%)
- B 기업: 매출 1조 원, 영업이익 500억 원 (영업이익률 5%)
- → 같은 매출이라도 A 기업이 수익성이 높아 더 매력적
🔹 (2) 대차대조표 (Balance Sheet) – 기업의 재무 건전성 분석
- 부채비율(Debt Ratio): 부채가 너무 많은 기업은 금리 상승 시 위험
- 유동비율(Current Ratio, 단기 부채 대비 현금 보유량): 기업이 단기적으로 부채를 상환할 능력이 있는지 확인
- 자기자본비율(Equity Ratio): 부채보다 자기자본이 많은 기업이 더 안정적
🔹 (3) 현금흐름표 (Cash Flow Statement) – 현금 창출 능력 확인
- 영업활동 현금흐름(Operating Cash Flow)이 플러스인지 확인
- 잉여현금흐름(Free Cash Flow, FCF): 기업이 순이익을 내더라도 실제 현금이 부족하면 위험
- 배당 지급 가능성: 현금흐름이 좋으면 배당 지급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음
✅ 재무제표를 활용한 실전 투자 예시
- 두 기업 A와 B가 있다고 가정하자.
- A 기업: 매출액 증가, 영업이익률 높음, 부채 적음, 현금흐름 좋음
- B 기업: 매출액 정체, 영업이익률 낮음, 부채 많음, 현금 부족
- 겉보기에는 둘 다 유명한 기업일 수 있지만, 부자들은 A 기업에 투자하고 B 기업은 피한다.
4. 불타기 전략을 활용하라 (주가 상승 시 추가 매수)
- 부자들은 주가가 상승할 때 추가 매수하는 불타기 전략을 사용합니다.
- 불타기란?
- 처음에 적은 금액으로 투자한 뒤, 주가가 예상대로 상승할 경우 추가 매입하여 수익을 극대화하는 방법
- 반대로 주가가 예상과 다르게 하락하면 손실을 제한하기 위해 추가 매수하지 않음
- 단, 재무제표가 튼튼한 기업이어야 추가 매수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5. 우량주 장기투자의 한계를 이해하라
- 많은 사람들이 삼성전자, 애플 같은 우량주를 무조건 오래 들고 있으면 성공한다고 생각하지만, 부자들은 다르게 접근합니다.
- 우량주라고 해도 기업의 경쟁력이 약해지거나, 산업이 변화하면 투자 전략을 수정해야 합니다.
- 변화하는 시장에서 장기 투자 전략
- 한때 강력했던 기업도 경쟁사의 등장, 산업 변화로 인해 쇠퇴할 수 있음 → 지속적인 점검 필요
- 단순히 "좋은 회사"가 아니라, 미래 성장성이 있는 회사에 장기 투자
- 노키아, 코닥처럼 시대 변화에 적응하지 못한 기업은 우량주였어도 결국 쇠퇴
📌 결론: 부자들이 투자하는 방식 따라 하기
김현준 작가는 단순한 주식 추천이 아니라, 부자들이 어떤 원칙을 가지고 주식을 선택하는지 설명합니다. 핵심 요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메가트렌드와 경제적 해자가 있는 기업에 투자
✅ 일상에서 투자 아이디어를 찾고, 재무제표를 꼼꼼히 분석
✅ 손익계산서(수익성), 대차대조표(재무 건전성), 현금흐름표(현금 창출 능력) 필수 체크
✅ 감정적인 투자 대신 철저한 계획을 세우기
✅ 주가 상승 시 추가 매입하는 ‘불타기’ 전략 활용
✅ 우량주라도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성장성이 없는 기업은 과감히 정리
이러한 원칙을 바탕으로 투자한다면, 단순히 ‘좋아 보이는 기업’이 아니라 진짜 부자가 되는 투자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
============================================
이상 chatgpt의 도움을 받은 책 요약이었음
'일상의관심사 > 생활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테크] 강영현, "살때 팔때 벌때" 독서후기 feat. chatgpt (1) | 2025.02.05 |
---|---|
축결혼 봉투 인쇄용 한글(HWP) 파일 (0) | 2008.05.16 |